전자기기는 온도와의 싸움입니다.
특히 컴퓨터 쪽은 성능과 안정성과 연관이 되어있어서
많은 사람들이 온도를 내리는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하기도 합니다.
스팀덱도 마찬가지지요
스팀덱의 배기구에 장착하여 열을 더 빨리 빼주는 쿨러
즉 흡기 쿨러가 출시해서 구매를 했습니다.
이 쿨러는
마운트 방식과 홀더 방식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.
홀더형은 쿨러와 거치대가 함께 되어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C1xZ/btsiBMoSW6g/siqjCUPH0mg0f1uMnJig91/img.png)
출처는 판매 페이지입니다.
저는 마운트형을 구매했습니다.
이유는 스팀덱 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을 사용하시는 분은 마운트형을 구매하셔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5NWG/btsitSYv7S9/fG8eSjWRU9hlvupbCEKWk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Af1k/btsiBNg2hGm/azQ8s3J4A99KIrg6vdyiXk/img.png)
구성품입니다.
케이블은 A to C입니다.
ㄱ 모양의 젠더도 들어있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WnM3/btsiuskYgI9/KMOlteuZtoBlO9UO23lABk/img.jpg)
여기 튀어나온 스위치를 돌리면 켜지고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Gf0O3/btsivgdd2Xi/oAkgWugnuzqX90oAJjko40/img.jpg)
ㄱ자로 꺾인 부분이 스팀덱 배기구에 연결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06u3/btsitGKCuxv/hoJeBFfrTXbdu4GgRmltmK/img.jpg)
이 통풍구로 열이 빠져나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cAH0/btsiu1HaaQ2/Lrbpd49aDxrRkiBps47lJ1/img.jpg)
왼쪽 플라스틱은 스팀덱에 이 쿨러를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마운트(유니버셜 슈트)입니다.
이것이 없으면 장착을 못하며
JSAUX의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마운트가 필요 없습니다.
저는 케이스를 따로 쓰고 있지 않기 때문에
이 마운트를 사용해야 합니다.
마운트는 동봉되어 있고 따로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wguh/btsitZXpI1x/pf0pandkwLd15Ov0z2QZP1/img.png)
이 쿨러는 내장 배터리로 동작됩니다.
그래서 충전을 해줘야 합니다.
충전 중이면 빨간불
완충 시 파란불이 뜨며
팬 동작시 따로 LED는 표시되지 않습니다.
완충까지 1.5시간
사용은 4~6시간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.
스팀덱에 장착을 해볼까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SQ8O/btsiyVsSo7u/s6Hkgpwtuy6wpXdhRVzRZK/img.png)
배기구에 홈이 있어서 자리 잡기가 쉽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Na6D/btsis19gMMO/qykRSC5yj7M4gGN0o5q7JK/img.png)
스팀덱 뒤쪽에는 이렇게 됩니다.
자세히 보시면 뒤판 나사 2개가 가려집니다.
마운트는 양면테이프로 붙여지는 방식인데 접착이 강한 편입니다.
뒤판을 열 가능성이 있으신 분은 이 나사 2개를 미리 풀어놓고 붙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ZDoe/btsiuKFGhfo/wFkwN7D5NkrQk0zWSWI4vK/img.png)
쿨러를 장착하면 이런 모양입니다.
쿨러만 떼 낼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게임을 할 때 무게 때문에 걱정이 되신다면 떼도 좋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uqsD/btsivhQK770/GMUZDIO2K2JaxF55EXrzM0/img.png)
독에 거치하면 이렇게 보이네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pAcWU/btsivSwr2fu/ATG900KQXVwWNYqhMtmhNk/img.png)
이거 무게가 상당합니다.
마운트 제외한 쿨러 무게만 111g
쿨러를 장착하면 스팀덱 무게는 801g가 됩니다.
아령이네요..
제가 들고 로스트아크를 테스트한다고 들고 해봤는데요
허공에 들고 하기는 힘들었고
테이블이나 탁자에 팔꿈치를 대고 할 때에는 할만했습니다.
옆으로 누워서 플레이도 많이 했었는데
옆으로 누워서는 할만하지 않을까 하네요.
(해보진 않았습니다.)
대망의 온도 테스트입니다.
로스트아크가 온도가 높았기 때문에 로스트아크로 테스트했습니다.
TDP 12W
로스트아크 옵션은 하
프레임은 40고정
프레임을 40으로 고정한 이유는 60으로 도달하기 위해 출렁이는 프레임보다
조금 덜 출렁거리는 40이 오히려 끊김이 없어 보이고 화면이 부드럽게 보이기 때문입니다.
덤으로 스팀덱의 자원 낭비도 줄일 수 있고 말이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EveL/btsisPnKr23/ZNKHSLIRPE7EKBsPbS4vE0/img.png)
칼라자마을 세워두기 (쿨러 장착 X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3iv1/btsiuCgxVNK/DjR2qwrfM4hmgM5DaoZmi0/img.png)
GPU 78
CPU 79
다음은
쿨러를 가장 낮은 속도로 켰을 때
온도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켜뒀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Klz8/btsivgK6qYO/vjCvqkIwKdakDDL85wC64K/img.png)
GPU 72 (쿨러 미장착에서 -6)
GPU 75 (쿨러 미장착에서 -4)
마지막으로
쿨러 가장 높은 속도로 켰을 때 (중간 속도로 정확하게 집을 수 없어서)
온도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켜뒀습니다.
높은 속도로 하면 소음이 발생합니다.
게임 사운드 때문에 저는 그렇게 거슬리지는 않았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rJYz/btsiBK5GmAD/VKL2TKdLXZTdWWsWjLELiK/img.png)
GPU 68 (쿨러 미장착에서 -10) (최소 속도에서 -4)
CPU 70 (쿨러 미장착에서 -9) (최소 속도에서 -5)
이렇게 사람이 많이 붐비는 곳이 온도가 높았습니다.
이 상태에서 TDP를 더 올리니 이전 온도 정도가 되었습니다. (72~77)
하지만 프레임이나 성능이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TDP 12W로 유지하려고 합니다.
꽤나 성능이 좋아서 다행이네요.
무게가 단점이긴 한데. 독에 거치하고 쓰시는 분은 완전 추천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이 상태로 더 사용해 보고 무게를 극복할 수 있는지 다른 전달사항이 있는지 추가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
'스팀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11 배틀넷 런처 하이브리드 세팅 (디아블로 4 설치 / 실행, 프레임, 온도 정보) (3) | 2023.06.09 |
---|---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10 로스트아크 하이브리드 세팅 (1) | 2023.05.28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9 스팀 OS 플러그인 데키로더 (Decky-Loader) 설치 (0) | 2023.05.26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8 스팀 OS 메모리 스왑 기능 (0) | 2023.05.26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7 윈도우 설치 후 초기 설정 (8) | 2023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