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.
스팀덱은 종료된 상태입니다.
윈도우 USB를 만듭시다.
rufus를 이용해 윈도우 USB를 만들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yBrbd/btshigTG4Lp/AOFIKM2OutT3lPVdz6tkuk/img.png)
다운로드로 변경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a6xn/btshi7aKDkz/Jvy1NHZvIgdv7dE5Chshl1/img.png)
저는 윈도우 11을 설치할 예정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KgKo/btshj4Ll3lC/dX0oppxgio5WfyaHrEgkA0/img.png)
체크 모두 해제하고 OK
윈도우 USB가 완성되면 컴퓨터에서 뽑고
스팀덱에 연결합니다.
스팀덱의 볼륨 낮춤 키를 먼저 누르고 있으면서 전원 버튼을 한 번 누르세요 (전원 버튼은 누르고 바로 떼세요)
띠로로 하는 사운드가 스팀덱에서 들리면 볼륨 낮춤 키를 떼세요
(* 전원 버튼을 누르면 거의 곧바로 띠로로 하는 사운드가 들립니다. 이후에 낮춤 키를 떼면 됩니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KhqD/btshjvbmsBN/VkgttKUJTOnOQH573GF5d0/img.png)
부트 매니저에서 USB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JxB8/btshhE8pIzb/TbIKbmgnz17FpAMIyKCJA1/img.png)
조금 기다리면 윈도우 설치 화면이 뜹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wqlM/btshh8nYasw/LfMsdEuP9ZcuVtP54ZlQEK/img.png)
지금 설치를 누르세요
(* 스팀덱의 우측 트랙패드를 이용해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.)
왼 클릭은 R2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yE9F/btsheEgzKUj/I9NJK1z2GVJdmEoshUFZFk/img.png)
제품키가 없음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YovP/btshgpKzhO3/Lzmm29tvmdQKxWd6jYnXe0/img.png)
Windows 11 Pro를 설치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wE5x/btshkNidSHh/vZZbLJg5eiDSmea7LiCLHK/img.png)
윈도우만 설치를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ISzn/btshi79E7q3/DAihXUAsx0eqJxkWCc8IW0/img.png)
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선택해야 합니다.
파티션 8이 스팀 파티션
파티션 9가 윈도우 파티션입니다.
여기서 파티션들을 삭제하거나 포맷하시면 안 됩니다.
윈도우 파티션인 파티션 9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glEo/btshhHxrpwY/G8CG6L2GnLVKrqs0AJe2x0/img.png)
설치가 진행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KbUo/btshcgtwlQT/6kFHka0vGPva4i7TgJi2uK/img.png)
설치가 끝나면 각종 설정을 하게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5BG0V/btshkxGxcB9/AdvZRw4e99uYO84hj3q860/img.png)
와이파이 설정 창에서
키보드를 이용해 Shift + F10 키를 누릅니다.
도스 프롬프트창이 뜨는데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gncF/btshh64KoAR/EpeIuhQ6FjqI4CVjlzCWek/img.png)
여기서 oobe\bypassnro라고 입력하면 로딩 후에 다시 국가 설정 창이 뜹니다.
(* 이 명령어는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KIJNo/btshjE0no1I/wg8ig7Z2yNEwmECmoghLf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pwmmT/btshh82y5CG/6eKi0qDR26CPvEUnTJja41/img.png)
하지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라는 글이 새롭게 등장합니다.
이 글을 눌러주세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YE2h/btshhIJTmNr/QMbTXmBzxmVA7GokZ9OuDK/img.png)
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눌러주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kX20Y/btshiFZNKxy/1vYmeXJNXEkTPkXlGkkrx1/img.png)
로컬계정명을 입력하세요.
저는 Deck로 했습니다.
(* 원하는 계정명을 하실 수 있습니다.)
암호는 입력 없이 엔터 치면 됩니다.
이후에는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는데
원하시는 대로 하시면 됩니다.
저는 모두 아니오 (두 번째 항목)을 선택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Ld6Z/btshijingyt/yFny5aZUnJP3ffx83c8BY1/img.png)
이제 설치 마지막 단계로 진입했네요.
기다려 주세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Lsfl/btshjDf4Pgr/s3zbHQxHia1sYOeBpk5HfK/img.png)
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.
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.
'스팀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5 윈도우에서 스팀덱 툴 설치 (0) | 2023.05.25 |
---|---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4 윈도우에서 설정 (0) | 2023.05.24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2 하이브리드 파티션 마운트 (2) | 2023.05.23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1 파티션 (0) | 2023.05.23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0 초기화 (0) | 2023.05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