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Cc6k/btsg1VayJq5/j4QdDKYVkkkYA3qmtnrxp1/img.png)
스팀덱 시작 버튼 - System - KDE Partition Manager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S63p/btsg0nFG60t/Jyukn8ZImZ868GKtlDFY21/img.png)
위와 같이 파티션이 많은 디바이스를 찾으세요
저처럼 3개가 뜨시는 분은
USB를 스팀덱에 꽂아두신 분이시네요.
하나는 복구 이미지를 담은 USB입니다.
스팀 파티션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Y6gu/btsg2jbkSrm/dGOxlCEHA0TO2jiMsqeA11/img.png)
- home 파티션 선택
- Resize/Move 선택
- Size를 256000 입력 (스팀 OS 용량 256G로 할 경우) (최소 50211MiB)
윈도우 파티션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ma7H/btsg1b5LrQD/tDZeMcGBT40rTBTssOpVYK/img.png)
unknown 파티션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
New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kQg5/btsg2Zw1Kzg/nu6hqhkcYhXzggQdehaZv1/img.png)
ntfs 선택
Size는 128000 입력 (윈도우 용량 128G 할 경우) (최소 32000MiB)
하이브리드 파티션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SbgT/btsg4iQAHsz/fXUA0TabLY3dnc6eWAKta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VtLv/btsg4ipvN2p/HsSUA8NSV9WHGCs6my93k1/img.png)
ntfs만 설정하고
OK 버튼을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VyRN/btsg1WggcSz/3k3djwCHHmLWqf2cKWhTuK/img.png)
Apply를 눌러서 설정한 파티션을 적용하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Izk8/btsg2joTz3A/AET9KavK9vwPMKakO16nF0/img.png)
OK 버튼을 누릅니다.
만약 여기서 오류가 발생해서 파티션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zVGr/btsg0W14Pk3/57ngzt7kqOxR0l3kxupqrK/img.png)
Clear local user data를 눌러서 데이터를 모두 초기화한 후 해보세요.
오류가 없었다면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ScUh/btsgTjcMj0l/icI3VNqs6XwwjGl2Uik8G0/img.png)
설정한 파티션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917O/btsgTjw4oll/9Xbvm8Fy2qWRFLEuhd8nJ0/img.png)
스팀덱을 종료(Shut Down) 합니다.
(재시작이 아닙니다.)
다음 글에서 봅시다.
'스팀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3 윈도우 설치 (0) | 2023.05.24 |
---|---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2 하이브리드 파티션 마운트 (2) | 2023.05.23 |
[스팀덱 하이브리드] #0 초기화 (0) | 2023.05.23 |
스팀덱 알리에서 산 도킹 스테이션 후기 (3) | 2023.04.13 |
스팀덱 스토브 런처 설치 (Lutris) + 러브딜리버리 (6) | 2023.03.20 |